본문 바로가기
주식

[노머스] 목표주가 N/R 증권사 최신 리포트 주가 전망 및 분석

by marudochi 2025. 4. 7.

2025년 4월 7일 노머스 리포트. 출처: SK 증권 리서치센터

 

노머스는 연예인 매니지먼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는 않지만, 해외공연 기획 및 커머스과 커뮤니티 플랫폼 등의 사업을 영위

24년 모든 사업부가 고성장 했으며, 25년에도 유사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

 

엔터사업은 중소형 IP를 중심으로 시작했으며, IT플랫폼을 활용해 팬덤을 성장시키는 것을 도와, 중 소형 IP와 동반 성장하는 비즈니스 모델

 

 다만 고성장하면서 이제 업계 전체의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최근에는 중소형 IP 뿐만 아니라 대형 소속사로부터 독립한 아티스트들의 IP를 레버리지 해주는 역할까지 하려고 시도 중

 

실적이 더 빠르게 성장하는 것은 물론 Ent. Scene에서 더 큰 Player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노머스 사업현황 엔터 업계는 음반 판매량 감소 후 공연 사업에 더 큰 비중을 두는 추세이며, 노머스도 이런 사업적 환경에 수혜가 예상

 

노머스의 해외 공연 건수는 24년 대비 올해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점점 더 큰 공연 사이즈를 기획하게 될 것으로 기대

 

현재 26년 1분기 콘서트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는데, 1년 전부터 논의된다는 것 자체가 노머스가 기획하는 콘서트 레벨의 업그레이드로 볼 수 있음

 

25 1분기부터 두개의 신규 사업도 런칭 예정

 

25 1분기 매출액 180억원, 영업이익 4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

 

 큐오큐로 성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지금 시점에 노머스에 대한 투자 관심이 필요

 

향후 미국뿐 아니라 중국 공연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린다면, 수혜가 가능한 업체로도 보고 있음

 

해외 MD 사업의 ASP는 국내 대비 약 1.5배 이상 높으며 해외 공연의 증가가 노머스의 거의 모든 실적과 연결된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

 

2025년 매출액 1,000억원, 영업이익 200억원 이상 달성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어 보임

 

최근 대두되고 있는 트럼프발 관세 우려는 엔터 섹터로의 수급 이동을 이끌 수 있다고 생각 

트럼프의 임기는 아직 4개월밖에 되지 않았으며, 재임 기간 동안 관세는 항상 시장을 공포로 이끌 것

이러한 점에서 엔터는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한 확실한 안식처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판단

 

기존 엔터섹터의 강자로 군림하였던 여러 기획사들과 달리 노머스와 디어유를 비롯한 IP 및 플랫폼 업체는 시장에 비교적 신선함을 가지고 있으며 그 성장성 역시 기존 기획사들과는 다른 밸류를 받아야 할 것

 

과연, 혼란스러운 세계 정국 속에 노머스의 주가 성장할 수 있을지 그 주가 흐름을 유심히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